[월:] 2007년 07월

  • 영어로 된 라디오

    http://www.bbc.co.uk/radio/ 영국 방송국 http://www.abc.net.au/radio/ 호주 방송국 FM주파수 102.7MHz AFN korean (미군 방송) 미국 라디오 방송은 못찾겠다. cnn이나 nbc는 TV만 나오는 것 같다. 자, 이제 TOEFL iBT대비는 영국, 호주, 미국의 3종세트로.

  • 나의 보안의식

    http://news.joins.com/article/aid/2007/07/17/2955707.html 위 기사에 나온 대로 체크했더니 나의 보안의식은 20점이다. –; 정보보안에 대한 관심이 심각하게 필요하다는군요. 사이트마다 비밀번호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은 양날의 칼이다. 사이트 한개를 해킹당해서 다른 사이트까지 그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는 있지만, 하나 까먹으면 그때마다 인증받아야 하니 번거롭다. 그렇다고 어디다 적어두는 것은 더욱위험하고, 통합 로그인 툴을 쓰는 것은 개인용이나 가능하지 공용 컴퓨터에서는 쓸…

  • 전도 vs 삥

    “야야야야야, 너 이리와봐” “왜요?” “돈 있냐?” “없어요” “진짜 없어?” “네” “뒤져서 나오면 죽는다, 진짜 없어?” “없는데요” “주머니 까봐” “보세요” “이새끼가, 눈 깔어” vs. “안녕하세요, 잠시만 시간 내주세요” “왜그러세요?” “설문조사 부탁드릴게요” “싫은데요” “교회 안다니세요?” “네” “성경은 읽어본 적 있으세요?” “없는데요” “교회 한번 나오세요. 참행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싫은데요” “그러지 말고 한번만 오세요” “싫어요”

  • 뫼비우스의 띠’비밀 풀렸다…‘에너지 밀도차’로 해석

    번역해서 풀어 쓰신 글을 보니 눈에 확 들어오네요. 이걸로 뫼비우스 3D 뷰어 같은거 만들면 볼만할 것 같네요. 물론 직접 만들고픈 욕구는 전혀 없습니다. 머리 아파요 -_-;

  • 이공계 살리기와 운하 건설?

    http://waterway.or.kr/blog/?no=13 이공계 문제의 원인은 제조업이 경쟁력을 잃고 연구인프라가 없는데, 연구인프라는 일단 회사가 잘나가야 생기는 거고, 회사가 잘나가려면 산업인프라가 잘 되어야 하는데, 그중 물류비용 절감이 중요하고, 따라서 운하를 만드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공계 문제 해결까지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주장. 물류비용 절감까지는 동의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반도 운하가 성공적으로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물류비용을…

  • 이공계 죽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7/13/2007071300966.html 몇년만일까. 이런 쓰레기같은 글을 읽게 된 것이. 슬프다 못해 눈물이 나려고 한다. 블로그에는 차마 적을 수 없는 육두문자와 된소리 단어들이 쏟아질 수밖에 없었다. 우리나라가 내수 서비스업과 유통업만으로 먹고 살 수 있을까? 물건들은 전부 수입해서 외화 다 빠져나가고, FTA되면 먹거리도 다 외국에서 수입해 올거고, 이공계에 투자 안하면 그나마 굴러간다는 IT도 없으니 돈 들어올 구석은 없고…

  • 토플 등록 사이트 오타

    토플 사이트에 오타 발견. 진학사에 얘기를 해줘야 하나? 그리하여, 8월 18일날, 최초의 토플을 PBT시험으로 보게 되었다.

  • 전압의 개념

    전압의 정확한 개념이 무엇인가요???? 전압이란 것이 무엇인가요 흘러가던 전류가 저항을 만나면 전압이 강하된다고 하는데 도대체 전압이란게 무엇이길래 저항을 만나면 줄어들고 하는 것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전하(Electric Charge)는 “전기장에 반응하는 특징”을 말합니다. “전하를 갖고 있다”는 뜻은 “전기장에 반응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뜻과 같으며, “전하”라는 단어가 들어간 모든 자리에는 “전기장에 반응하는 특징”이라는 말을 대신 써도 됩니다. 또한, “전하를…

  • 구글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듬

    * CC라이센스에 따라 저작권자와 원문 정보를 포함하여 복사해 왔습니다. 이 글은 CC라이센스를 따르며, 저작권은 번역하신 이명헌님에게 있습니다. ————————————————— [텍스트마이닝] 구글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듬 구글 개발자 서르게이 브린 논문 번역 이명헌 (@메일) / 2002-12-30 / 문서출처: 이명헌 경영스쿨 http://www.emh.co.kr/xhtml/google_pagerank_citation_ranking.html 이 문서를 게시하거나 프린트하려면 위 문서출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참고: 저작권정책) Abstract 웹 페이지의 ‘중요성’은 본질적으로 주관적인 문제여서 읽는…

  • 선거에 영향을 주는 것(2)

    생각해 보니까, 인터넷이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선거에 별 관심이 없다고 본다는 뜻이다. 선거에 관심이 뜨거웠으면 모든 유권자는 각 후보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 후에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고, 그럼 인터넷이나 언론이나 주변 사람들의 입소문으로 들은 것에 영향을 덜 받게 될 테니까 말이다. 즉, 그만큼 선거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