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011년 06월
-
중성미자 검출실험 RENO
지난 토요일에 교수님의 초청으로 RENO 실험실에 다녀왔다. 피자를 먹느라 자세히 보지는 못했지만 (어차피 자세한 설명은 물리학회에서 들었지만) 아무튼 꽤 큰 물통에 섬광검출기용 액체를 채워넣는 과정이 거의 마무리 되어 가는 중이라고 한다. 아마 다음달부터는 중성미자 검출을 시작하지 않을까 싶다. (내 추측임. 공식적인 일정은 모름.) 차에서 찍은 원거리 검출기쪽 실험동 사진. 물론, 보다시피 컨테이너다.-_-; 지옥의 입구는 아니고,…
-
공정한 사회
요새 정부에서 공정한 사회를 만들자고 외치고 있다. 좋은 일이다. [각주: 1 ] 공정함이란 무엇일까? 억울함이 없으면 공정한가? 원칙이 지켜지면 공정할까? 기회가 균등하면 공정할까? 그리고 공정함이 필요하긴 할까? 공정함과 공평함은 어떻게 다를까? 집안에 돈이 많아 고액 과외를 받은 학생이 집안이 가난하여 공부를 많이 하지 못한 학생보다 시험을 잘 보는 것은 공정한 것일까? 아니면 공정하지 않은 것일까?…
-
군대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938799 MC몽이 군대를 가든지 말든지 법대로 된다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이제 항소심에서 MC몽은 자신의 뜻을 관철하기 위하여 “저는 병역법 위반 혐의에 대해 유죄입니다”라고 강력하게 주장해야 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역법 위반 혐의가 무죄로 선고된다면 여전히 군대를 갈 수 없다.(정확히 말해서, 그는 합법적으로 병역의 의무를 면제받은 것으로 인정된다는 뜻이다.) 즉, “군대 가고싶다”고 말하는 것의 진정성을 위해…
-
토끼와 거북이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에서 결국은 거북이가 이긴다. 물리학자의 질문 – 평균 속력은 누가 더 큰가? 순간 속력은? 평균 가속도는 누가 더 클까? 순간 가속도는? 적절한 가정과 추론을 바탕으로 답을 유도해 보자. – 해설은 미래의 언젠가…
-
표준편차가 주어졌을때
표준편자가 주어졌을 때, 이 표준편차를 갖도록 수열을 만들 수 있을까? 아주 쉽다. 표준편차가 2라고 하자. 간단히, 2개의 수만 생각해 보자. -2과 +2. 알다시피 평균은 0이다. 각각 -2, +2만큼의 편차를 갖고 있으며, 분산은 4이고 표준편차가 2가 된다. 그럼, 표준편차가 2가 되는 여러개의 수를 생성하려면? n개의 수가 필요하다고 할 때, -2를 n/2개, +2를 n/2개 넣어보자. 그럼 각각…
-
갚을 수 있는가
http://mnews.mk.co.kr/mnews_062414.html 어떤 사람이 지인의 돈 24억을 끌어모아서 다 썼다. http://www.jisiklog.com/qa/15838596.htm 연봉을 좀 높게 잡아서 실수령액 5천만원이라고 치고 그걸 전부 상환에 힘써도 48년이다. 다 갚으면 방년 73세. 저 사람도 일당 3억짜리 알바를 하면 될것 같은데…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62307353000689&nvr= 구하기 쉽진 않겠지만, 경력을 살펴보면 의외로 적성에 맞을지도?
-
중용의 도
모든 경우에 중용을 지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특히 어려운건 수도꼭지에서 뜨거운 물과 찬 물의 경계에서 적절한 온도를 맞추는 것이다.
-
나는
요즘들어… “나는 가수다” 때문인지, “나는 xxx다”라고 표현하는 글들이 많이 보인다. 정작 “나는 가수다”를 단 한번도 보지 못한 나로서는 왜들 그렇게 난리를 치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보면 알거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 볼 시간도 없고 볼 TV도 없고 볼 의지도 없으니.) 이제와서 생각해보니 힘들지 않은가. 나는 누구인가. 처음 만난 사람이 “누구세요?” 이렇게 물어보았을 때, 그 사람이 나를…
-
142857
기사 쓰기 참 쉽구나… http://www.fnnews.com/view_news/2011/06/20/110620132627.html 142857에 1~6까지의 어떤 수를 곱해도 142857의 6개 숫자가 순서만 바뀐 채(정확히는, 순서는 그대로인데 시작하는 수가 달라진 채) 등장한다. 물론 7을 곱하면 999999이다. 이건 1/7 = 0.142857142857142857142857142857…로 이어지는 무한 순환소수이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다. 1~6까지 곱한다는 건 결국 2/7, 3/7, 4/7, 5/7, 6/7을 계산하는 것이고. 17을 예로 들어보자. 0.0 5882352941176470 588235294117647 =…
-
토론의 기술
쇼펜하우어가 쓴 책이다. 토론에서 중요한 것은 이기는 것이지 진실을 규명하는 것이 아니다. 실체적 진실에 상관 없이, 토론에서 이기는 자의 주장이 진실이 된다. 그렇다면 토론 그 자체를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상대의 주장을 뭉개고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필요한 38가지 실제적인 기술이 이 책에 설명되어 있다. 이 책은 진리에 상관 없이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사람에게만 필요한 책이…